본문 바로가기

CS공부/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초 07.04

왠지 범위가 너무 적다고 생각했는데 내 착각이었다..

 

2.1.4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

네트워크 병목 현상의 주요 원인

  • 네트워크 대역폭
  • 네트워크 토폴로지
  • 서버 CPU, 메모리 사용량
  • 비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

ping (Packet INternet Groper)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려는 대상 노드를 향해 일정 크기의 패킷을 전송하는 명령어

패킷 수신 상태와 도달하기까지 시간을 알 수 있음

TCP/IP 프로토콜 중에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프로토콜을 통해 동작한다.

ICMP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거나 traceroute를 차단하는 경우 ping test 불가

방법: ping [IP address or domain address]

 

netstat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는데 사용

네트워크 접속,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프로토콜 등 리스트를 볼 수 있음

서비스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할 떄 사용

 

nslookup

DNS(Domain Name System)에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쓰는 명령어.

도메인에 매핑된 IP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tracert

Windows - tracert, Linux - traceroute

목적지 노드까지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이외에 가능한 명령어

ftp(File Transfer Protocol) - 대형 파일 전송

tcpdump - 노드로 오고 가는 패킷을 캡처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 wireshark, netmon

 

2.1.5 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다른 장치들 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설정된 공통된 인터페이스.

IEEE, IETF와 같은 표준화 단체가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IEEE(Institut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EE802.3 - 유선 LAN 프로토콜

IEEE802.11 - 무선 LAN 프로토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Questions:

네트워크 트래픽과 대역폭의 차이는?

알고 있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그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하세요

네트워크 병목현상의 주요 원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CS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07.11  (0) 2023.07.11
네트워크 기기 07.06  (0) 2023.07.06
TCP/IP 4계층 모델 07.04  (0) 2023.07.04
네트워크의 기초 06.26  (0) 2023.06.26